리브굿 주문상품은 2주만에 한국에 도착하였습니다. 리브굿은 제품중심의 판매회사 이며, 이것을 네트워크 마케팅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보상은 매트릭스 방식으로, MAX 2X15 입니다. 특이한것은, 바이너리 구조를 강제스필오버로 채워나가는 방식 입니다. 때문에, 본인이 추천하지 않아도 나의 매트릭스는 강제로 채워질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2X12 매트릭스는 강제로 채워질 수 있는 최대한계 입니다.

 

리브굿 보상은, 강제 스필오버로 약 250만원 정도를 공유받을 수 있습니다. 독립사업자로 참여하는 사람들은 네트워크 마케팅 특성상, 이것을 입소문으로 광고하고 있습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월 250만원"을 번다는것으로, 사람들이 주목하고 있지만, 정작 제품에 대한 설명은 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독립사업자가 되면, "제품이 자동으로 판매" 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나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데, 어떻게 제품이 자동으로 판매될 수 있습니까? 그것이 네트워크 마케팅의 장점 입니다. 월 사용료를 지불하는 회원은 2가지 형태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첫번째는, 회원이 되어 제품을 소매가보다 저렴하게 구매하기 위해서이며, 두번째는, 독립사업자 자격으로 소득을 얻기위해서 입니다. 네트워크 마케팅은 제품이 자동으로 판매될 수 있습니다. 나의 매트릭스에서 구매가 이뤄지는경우, 그것은 내가 판매한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입니다. 여러 이해관계가 존재하고 있음에도, 사람들은 여전히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월 250만원"이란 타이틀 문구만 생각하고 불편해하기도 합니다.

 

독립사업자로서, 월 이용료를 납부하면, 먼저 참여한 사용자에게 수수료가 지급되겠죠? 이것은 동기부여로 동작합니다. 동기부여를 얻는 스폰서는 귀하의 매트릭스를 채울 수 있습니다. 동기부여를 하고 있음에도, 자신이 아무것도 하지 않는것으로 착각할 수 있습니다. 나의 이용료는 스폰서에게 돌아간다는것만 생각합니다. 나의 매트릭스를 채워지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는것은 이해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대표적으로 "암웨이" 다단계만 보더라도 수십년간 유지되고 있습니다. 다단계 제품이 목적일까요? 소득이 목적일까요? 누구라도 시작은 소득이 됩니다. 소득을 위한 시작은, 제품의 관심을 끌어올 수 있습니다. 마치, 우리가 TV광고를 보고 있을뿐 구매할 생각이 없는 각종 제품들이 끊임없이 소개되고 있는것처럼 말이죠. 이것은 마케팅 입니다. 최대한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서 네트워크 마케팅 방식을 채용하고 있습니다 .소득이 목적이라고 해도, 슈퍼레드 또는 CBD오일같은 특별한 제품이 필요한경우, 구매할 수 있습니다.

 

마케팅과 동시에 회사는 가성비 상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시스템을 이용하는것이 아님에도, 리브굿에 대해서는 보상이야기만 합니다. 업계에서 보상방식에 특별함이 주목받는것은 사실이지만, 보상이야기만 하고 있으니, 제품을 이용한 신종 사기수법이라는 말까지 하고 있습니다. 분석증명서까지 발급받아 제공되는 전 제품에 대한 가격비교를 해보십시오. 제품 가격이 저렴할 수 있는 이유는 보상을 제외하고도 회사의 이윤이 남을 수 있으므로, 가격에 세이브되고 있다는것은 매우 중요합니다.